Aim To Grow Together (749) 썸네일형 리스트형 Marketing MBA..3-5. 신상품의 동태적 관리 1. PLC의 개념과 유형 가. PLC = Product Life Cycle(제품수명주기) : 시간의 흐름에 따른 특정 상품군의 매출추이를 나타내는 곡선 → 제품의 동태적 관리에 필수적인 개념 나. PCL별 유형과 특징 ① S형(대표적인 형태) : 일반적인 내구재 or 소비재 / 각 단계별 마케팅 전략의 초점 ② 감소형 : 대형영화, 게임,음악 등 / 유행성(Fad)이 강한 제품군 ③ 생필품형 : 소금, 쌀 등 / 유행성이 거의 없는 제품군 ④ Sleeper형(Fashion성향 제품군) 다. 각 단계별 마케팅 전략의 초점 2. Chasm 가. 각 단계에서도 캐즘은 일어날 수 있지만 특히 Early Adopter와 Early Majority 사이가 심각함 나. 캐즘의 극복을 위한 핵심단어 : King Pi.. Marketing MBA..3-4. 마케팅조사와 상품 컨셉 테스트 1. 마케팅 조사에 대한 이해 가. 조사 프로세스와 조사기획서 : "신상품 기획에 필요한 제반 마케팅 조사에 대한 기본적인 프로세스와 조사 기획서를 작성할 수 있어야 한다" 나. 사계획서와 문제의 파악 : "신상품 기획에 필요한 조사계획서의 작성과 당면해 있는 신상품관련 핵심문제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다" 다. 조사문제 vs 경영문제 : 조사 설계시 경영문제와 조사문제에 대한 명확한 구분이 필요함. - Conceptual Map의 활용 ① 1단계 : 경영층이 원하는 것(재 구매율 90%유지) ② 2단계 : 우리가 조사해야 하는 것(heavy-user 충성도) ③ 3단계 : 그 결과, 우리가 설명할 수 있는 것(재 구매율의 가장 중요한 변수 도출) → 조사 문제 도출 → 조사의 구체적인 항목들 결정 2. 마.. Marketing MBA..3-3. 상품 컨셉의 중요성과 설정 방법 1. 신상품 핵심 컨셉의 중요성 가. 고객 욕구와 정서적 가치 : 제품의 핵심가치를 어떻게 설정하고 목표고객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것인가에 따라 신상품의 성공여부가 결정됨 나. 상품 핵심가치의 이해 : (Product)는 무엇이고, 핵심 가치는 어떻게 정의되고 있는가? 다. 핵심가치 설정 시 고려사항 : 다양한 마켓 트렌드에 대한 이해와 신상품 핵심가치 설정과의 연관성을 이해 ※ Market Trend의 종류 ※ 컨셉에 따라 목표 고객이 바뀔 수 있음 : IPTV는 똑똑한 TV다(30-40대 구매층) vs IPTV는 TV를 볼 수 있는 신 컴퓨터다(젊은층) 라. 상품핵심 가치와 혜택 ① 고객의 관점 : "제품은 편익의 묶음이다" - 기능적 편익 (Functional Benefit) - 심리적 편익 (Ps.. Marketing MBA..3-2. 신상품 개발 프로세스 1. 신상품 개발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 가. 개발하는 상품의 혁신성 정도에 따라 ① 일반적인 신상품 개발 프로세스(Continuous 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② 혁신적인 신상품 개발 프로세스(Discontinuous NPD Process / Product Platform Development Process : 제품 플래폼의 개발) 나. 개발 주체가 누구냐에 따라 ① 고객중심의 신제품 개발 프로세스(Customer-Centered 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② 팀 중심의 신제품 개발 프로세스(Team-Based 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2. 신제품 개발 시 혁신성의 정도 결정 요인 가. Newness 정도.. Marketing MBA..3-1. 상품 기획의 중요성과 고객 가치 1. 기업생존부등식과 상품기획 가. 생산자 입장에서는 '상품 가격>상품 원가'라는 부등식이 성립되어야 함 나. 소비자로서는 '상품 가치>상품 가격'의 부등식이 만족돼야 구매 다. 요약 : 기업이 생산한 상품엔 "가치>가격>원가'의 논리가 성립(기업 생존의 부등식) 2. Market Leader 기업이 되기 위한 상품기획의 방향 가. 운영상의 탁월 : 월마트 나. 제품 리더쉽 : 인텔 다. 고객밀착 : 홈 디포 3. 상품화/차별화를 위한 고려사항 가. 단순영업(판매)능력 => 사업창출능력 ① 단순한 판매 지양 ② 단순 상품판매 vs 서비스 비즈니스 나. 제품 중심에서 고객경험중심으로 사고 전환 ex) 제주도 올레, 금융위기 극복 사례 등 4. 고객 가치에 대한 이해 가. 속성에 따라 상품 제공가치, 서비스.. Marketing MBA..2-11. Positioning (포지셔닝 분석과 전략) 1. Positioning을 하기 위해 해야 할 일 가. 기존 제품 분석 : 기존의 제품은 고객들에게 어떤 이미지를 가지고 어필하고 있는가? 포지셔닝이 필요한 제품의 성격은? 나. 자사 Positioning 전략 : 우리 제품은 어떤 이미지로 포지셔닝 할 것인가? 다. 포지션 : 다른 제품과 차별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이미지 일반적인 포지션 기반 : 제품 속성, 가격, 사용상황, 브랜드 이미지, 표적고객 노출 등 라. 어떻게 포지셔닝을 할 것인가? - 표적 고객의 욕구와 선호를 이해한다. - USP를 이해 한다.(Unique Selling Proposition) - 이상적인 USP를 찾아낸다. 2. Perceptual Map 가. 기존 제품이 지각 공간 안에 차지하고 있는 위치 : MDS(Multi-Di.. Marketing MBA..2-10. Targeting (세분 시장 평가와 목표 고객 선정) 1. Segment가 적절한지에 대한 평가 기준 가.size : 적절한 사이즈가 되어야 함 나. Measurable : 측정이 가능해야 함 다. Identifiable : 고객이 어떤 세분화 그룹인지 파악할 수 있어야 함 라. Accessible : 접근 가능해야 함 마. Actionable : 반응이 와야 함 2. 경쟁력 관점의 평가기준 가. Situation Analysis(SWOT) 나. Competition Analysis - 5 Driving Forces 다. Generic Strategies for Competency 3. 시장규모예측 ※ Bass diffusion model : 시장 규모에 대한 수요 예측 모델 가. 잠재고객 시장은 혁신 소비자와 모방소비자 집단으로 구분되는데, 혁신 소비자층.. Marketing MBA..2-9. Segmentation II (소비 행위, 심리적 특성을 이용한 시장 세분화) 1. 시장 세분화의 필요성 가. 시장 세분화가 모든 시장에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① 시장 세분화가 필요한 경우 - 성숙시장 / 규모가 큰 시장 예) 생활용품 - PLC의 주기가 짧은 경우(시장 초기) / 혁신 시장 예) IT, 전자회사, 의류산업 나. One-to-One Marketing ① One-to-One Marketing에 근접해 있는 산업 : 금융(CRM) ② One-to-One Marketing을 하지 못하고 있는 산업 : 생활용품 ③ One-to-One Marketing을 위한 조건 - 개인별 데이터베이스를 세밀하게 취득 가능해야 한다 ④ One-to-One Marketing이 실제로 가능한가? - 실제 매커니즘을 보면 진짜 One-to-One Marketing이 아닌 경우가 많다. - O.. 이전 1 ··· 80 81 82 83 84 85 86 ··· 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