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Positioning을 하기 위해 해야 할 일
가. 기존 제품 분석 : 기존의 제품은 고객들에게 어떤 이미지를 가지고 어필하고 있는가? 포지셔닝이 필요한 제품의 성격은?
나. 자사 Positioning 전략 : 우리 제품은 어떤 이미지로 포지셔닝 할 것인가?
다. 포지션 : 다른 제품과 차별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이미지
일반적인 포지션 기반 : 제품 속성, 가격, 사용상황, 브랜드 이미지, 표적고객 노출 등
라. 어떻게 포지셔닝을 할 것인가?
- 표적 고객의 욕구와 선호를 이해한다.
- USP를 이해 한다.(Unique Selling Proposition)
- 이상적인 USP를 찾아낸다.
2. Perceptual Map
가. 기존 제품이 지각 공간 안에 차지하고 있는 위치 : MDS(Multi-Dimensional Scaling)
① 축을 미리 알고 있다면 축을 두개 자아서 할 수 있음. 평가를 매기게 함(Direct Approach)
② 제품들을 비교하여 자신의 위치를 파악함(Indirect Approach) - 더 많이 사용
3. Positioning Types
가. 제품 속성 : 예) 죽염치약 → 잇몸질환 예방 / 클라이덴 → 치아미백 / Volvo → 안전한 차
나. 사용 상황 : 예) 게토레이 → 운동후 갈증해소 / 컨디션 → 숙취해소
다. 제품군 : 예) Uncoke → 7up
라. 타겟 고객
마. 시장 위치 : 예) 렌터카 회사'Avis → 우리는 2위 기업이다. 그래서 우리는 노력한다.
4. Brand Positioning
가. 소비자의 니즈와 관련하여 속성차원들을 찾아낸다.
나. 다른 경쟁제품들이 어떻게 평가되고 있는지 찾아낸다.
다. 내 제품의 현재 위치를 구성한 포트폴리오와 내 브랜드 포지션을 비교 평가한다.
라. 내 제품의 올바른 위치를 찾아낸다. Ideal Point를 결정하고 방향성을 결정한다.
- Benchmarking :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제품을 찾아내고 그 기업의 포지셔닝을 따라감
- "Anti" positioning strategy : 강조되는 속성의 반대속성을 강조해 그 범위에서 멀리 떨어짐
- New dimension strategy : 소비자들이 몰랐던 새로운 차원을 찾아내서 포지셔닝 함
마. 그 위치에 가기 위한 제품 Statement를 만든다.
5. Positioning Strategy
가. 최초 시장 진입 브랜드의 경우(경쟁우위)
① 시장에 먼저 진입한 브랜드들은 각 제품군에서 준거 제품으로 여겨지고 있기 때문에 나중에 진입한 브랜드들의
평가에 있어서 비교의 기준이 됨
② 소비자들은 후발브랜드가 기준이 되는 준거 브랜드에 비해 특별히 더 나은 무엇을 제공하기 전에는 준거
브랜드를 선호함
나. 후발주자 브랜드 전략
① 공세적 브랜드 전략
- 차별화 브랜드 전략 : 기존 브랜드의 포지셔닝과 차별화되는 브랜드 컨셉으로 준거 제품 주도권을 노림
- 도전적 브랜드 전략 : 기존 브랜드의 포지셔닝과 유사한 브랜드 컨셉으로 기존 브랜드의 포지셔닝 자체를
위협하는 전략
② 순응적 브랜드 전략
- Me-too 전략 : 제품 성능에서 선두주자와 비슷하면서 가격에서 이점이 있음을 강조하는 전략
- 틈새시장 브랜드 전략 : 선두주자와 차별화된 브랜드 컨셉으로 포지셔닝하며 프리미엄 가격으로 시장규모가
작은 특정 세분시장에서 이익을 극대화하는 전략
6. Positioning Statement
가. Brand/Product A is in (Product category) 무엇입니다.
나. To whom 누구를 위한 것입니다.
다. Provide what(Key benefits) 이것은 어떤 효용을 제공합니다.
'지나간... 의미가... > 마케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rketing MBA..3-5. 신상품의 동태적 관리 (0) | 2015.10.19 |
---|---|
Marketing MBA..3-4. 마케팅조사와 상품 컨셉 테스트 (0) | 2015.10.19 |
Marketing MBA..3-3. 상품 컨셉의 중요성과 설정 방법 (0) | 2015.10.19 |
Marketing MBA..3-2. 신상품 개발 프로세스 (0) | 2015.10.19 |
Marketing MBA..3-1. 상품 기획의 중요성과 고객 가치 (0) | 2015.10.19 |
Marketing MBA..2-10. Targeting (세분 시장 평가와 목표 고객 선정) (0) | 2015.10.19 |
Marketing MBA..2-9. Segmentation II (소비 행위, 심리적 특성을 이용한 시장 세분화) (0) | 2015.10.19 |
Marketing MBA..2-8. Segmentation I (인구통계적, 지리적 특성을 이용한 시장 세분화) (0) | 2015.10.19 |
Marketing MBA..2-7. How to Understand Markets(시장 조사) (0) | 2015.10.19 |
Marketing MBA..2-6. Animalistic Consumers(동물적 소비자 행동 이론) (0) | 2015.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