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im To Grow Together

(749)
Marketing MBA..1-12. Marketing communications and advertising / Distribution 전략 1. IMC 정의 가. 직원, 고객, 여타 이해관계자 및 공중에 대하여 상호이익의 관계를 육성, 강화하기 위하여 전략적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육성, 강화하기 위하여 전략적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조정함에 따라 기업과 브랜드에 대한 건설적인 접촉을 이루는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는 과정 나. 발상 : 마케팅 지식은 물론 광고, 유통, 제품관리가 전문화 분권화되면서 이들에 대한 통합적인 관리가 필요 다. 대상 : 고객, 내부종사자, 유통업자, 투자자, 정부와 같은 모든 이해관계자 ※ 광의의 IMC - 모든 마케팅 믹스를 포괄 ① 일치성 : 여러 커뮤니케이션 수단들이 서로 지켜야 하는 최소한의 사항 ② 보완성 : 여러 커뮤니케이션 수단들이 상호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는 경우 2. IMC의 커뮤니..
Marketing MBA..1-11.Managing Price and Value 1. 가격 결정의 네가지 요소 가. 고객에 대한 충분한 이해 : 고객이 그 제품에 대해서 느끼는 가치를 충분히 이해 나. Cost 다. 경쟁 라. 전략적인 목표를 명확하게 가격 전략에 반영 2. 가격 차별화 정책 가. 같거나 비슷한 제품이 매우 다른 가격에 팔리고 있다. 나. 소비자가 어떤 제품에 대해 지불할 용의가 있는 가격, 즉 유보가격은 사람에 따라 크게 다르다 ▶ 기업은 이러한 소비자들의 유보가격 차이를 잘 이용하여 이익을 크게 늘릴 수 있다. ▶ 회사는 가격과 함께 다른 마케팅변수(제품, 유통, 브랜드 등)도 동시에 차별화하여 자사의가격 차별화 정책을 뒷받침 해야 함 ① 유통경로의 차별화 : 똑같은 제품이 여러 종류의 가게에서 서로 달느 가격에 팔린다. 어떤 제품의 모델을 특정한 상표 이름 하에..
Marketing MBA..1-10. Developing new products and Managing the product line 1. 신제품 개발 프로세스 가. Idea Generation and Screening 나. Concept Development 다. Business Case Analysis 라. Development and Product Testing 마. Market-Factor Testing and Test Marketing 바. Commercialization 2. Concept Testing 가. 신상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 나. Measures (primary) - Level of interest - Comparison on a battery of attributes - Purchase Intention - Purchase Intention at a price point 다. Measur..
Marketing MBA..1-9. Managing Brand 1. 브랜드란 무엇일까? : 브랜드라는 것은 Unbranded commodity에서 무언가가 더해진 것 - 소비자들이 갖는 인식과 감정이라는 것이 더해지는 것. → 제품을 포함하며, 제품만이 아닌 기업과 속성과 혜택에 대한 다양한 소비자들의 인식과 감정을 포함하는 것. ※ 인터브랜드 : 영국에 기반을 둔 브랜드컨설팅회사, 브랜드가치는 브랜드가 미래에 발생시킬 것으로 기대되는 수익 혹은 현금 흐름을 현재가치로 평가한 것에 근거하여 측정될 수 있다고 본다. 가. 브랜드 자산가치는 (브랜드 수익 × 브랜드강도)로 계산 나. 브랜드 수익(Brand Earning) : 한 브랜드의 매출에서 브랜드로 인해서 일어난 이익 다. 브랜드 강도(Brand Strength) : 리더십(25%), 국제성(25%), 안정성(1..
Marketing MBA..1-8.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1. 경쟁우위의 개념 가. 경쟁우위란 : 핵심역량은 고객의 Needs에 맞는 신제품을 지속적으로 그리고 보다 경쟁자보다 앞서서 출시할 수 있는 역량 나. 경쟁우위의 중요성 ① 시장에 있는 가치있는 제품 제공 : 경쟁기업에 비해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 ② 기업의 Resource로 활용 : 다양한 사업으로 확장할 수 있는 기반 마련 ③ Market Performance : 고객만족도, 수익성, 시장점유율 증가 2. SCA-based Strategy 3. 경쟁우위의 원천 - 우월한 자산 가. Cost of raw materials and purchased inputs ① 경쟁사보다 낮은 가격에 원료를 조달하거나 양질의 원룔르 확보하여 생산원가를 절감 ② 생산원가를 절감하거나 뛰어난 품질의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 ..
Marketing MBA..1-7. Market Strategy_The Integrator 1. 포지셔닝의 구성 요소 가. 소비자 표적시장(targets)을 선택하기 나. 경쟁자 표적시장(targets)의 틀을 잡기(frame) 다. 가치 제안(value proposition)을 디자인하기 라. 믿을만한 이유들을 표현하기(Articulate the reasons to believe)1 ※ 경쟁적인 틀의 예시 2. 시장 세분화에서의 포지셔닝 ※ Cemex 사례 : Positioning Statement 3. 경쟁 기반 포지셔닝(Competition-Based Positioning) 가. Points of Parity(Category Membership - 소비자가 여기는 중요한 혜택들에 대한 것에도 뒤지지 않음을 제시 - 해당 카테고리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속성을 제시 ① 브랜드 위치를 설립하기 ..
Marketing MBA..1-6. Marketing Segmentation & Targeting 1. 시장세분화 : 한 기업이 시장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서 몇 개의 동질적인 소비자집단으로 나누는 것 가. 시장세분화의 이점 ① 소비자의 욕구를 더 정확히 충족시킬 수 있다. ② 우리 회사의 상표에 대한 애호도(brand loyalty)를 높일 수 있다. ③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나. 세분시장의 조건 ① 시장세분화 변수의 측정가능성 : 시장을 세분하기 위한 기준변수는 현실적으로 측정 가능하여야 함 ② 세분시장의 시장성 : 각 세분시장에서 얻을 수 있는 잠재적인 이윤이 그러한 차별적인 전략을 정당화할만큼 커야 함 ③ 접근가능성 : 세분시장에 있는 소비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어야 함 다. 시장세분화 변수 ① 소비자들의 행동과 관련이 있어야 함 ② 측정할 수 있고, 쉽게 관찰할 수 있어야 함 ..
Marketing MBA..1-5. Competitor Insight 1. A Framework for Gaining Competitive Insight 2. STEP 1. Identify, 우리의 경쟁자는 누구인가? 가. Direct competitor : 같은 세분시장을 목표로 하고 있고, 유사한 제품, 기술 혹은 사업 모델을 바탕으로 유사한 고객 편익을 제공하는 경쟁자 나. Indirect competitor : 같은 세분시장을 목표로 하고 있고 유사한 고객 편익을 제공하지만, 방식에 있어서 다른 제품, 기술 혹은 사업 모델을 바탕으로 제공하는 경우 3. STEP 2. Describe & Evaluate, 경쟁자 분석의 주요 요인 3-1. 정형전략 가. 원가 우위 - 지속적인 자본의 투자를 통한 대대적인 시장점유율의 확보가 기본적 요건 - 지속적 생산공정 향상을 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