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신제품 개발 프로세스
가. Idea Generation and Screening
나. Concept Development
다. Business Case Analysis
라. Development and Product Testing
마. Market-Factor Testing and Test Marketing
바. Commercialization
2. Concept Testing
가. 신상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
나. Measures (primary)
- Level of interest
- Comparison on a battery of attributes
- Purchase Intention
- Purchase Intention at a price point
다. Measures (secondary)
- Open-ended "reason why"
- most important product features
※ 주요 측정 항목
① 구매 의도 : 5개 척도
② 구매 빈도(비내구재 중요) : 주에 1번 / 월에 1번 등..
3. Product Testing
가. Two generic types
① In-company Alpha tests : 기업 내부에서 진행되는 제품 테스트
② Customer Beta Tests : 알파테스트를 만족시킨 경우,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테스트
나. Two types
① Market Factor Testing : 기대되는 매출 효과를 하기 위해 디장니된, 실제 또는 가상의 상황에서 개별적인
마케팅 요소들을 test 하는 것
② Test Marketing : 작지만 전체 시장을 대표할만한 실제 시장에 제품을 출시해 테스트하고 결과를 측정하는 것
4. 제품관리전략
가. 제품이란 : 소비자의 필요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것은 무엇이나 제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물체 뿐만 아니라
서비스 · 장소 · 아이디어 · 사람 · 조직체 등도 제품이 될 수 있다.
나. 제품의 3가지 수준
다.제품의 종류(소비재)
① 편의품 : 소량으로 자주 구입
구입시 여러 가게를 돌아다니거나 상표를 비교하지 않고 구매 결정을 함
ex) 담배, 껌, 비누
② 선매품 : 구입시 가격, 품질, 스타일 등 여러 면에서 여러 상표를 비교한 다음 구매결정을 내리는 상품
ex) 중고차, 부인복, 가전제품
③ 전문품 : 특정 제품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특성이나 매력으로 인해 그 상표만 사려고 각별히 노력하는 상품
ex) 스테레오, 자동차, 카메라 등
라. 제품믹스와 제품계열의 관리
① 제품 믹스 : 한 기업이 생산하여 판매하는 모든 제품계열과 품목을 통틀어 일컫는 말
② 제품 계열의 관리
③ 하향연장 : 고급품만을 생산하던 회사가 현재의 품목보다 낮은 품질과 가격의 품목을 제품계열에 추가하는 것
- 회사가 고급품 시장에서 공격을 당하여 그 반격의 방법으로 타사가 점유하고 있는 저가품 시장에 침투할 때
- 고급품 시장의 성장률이 낮다고 판단될 때
- 미리 저가품 시장을 석권하여 경쟁사의 진출을 막으려고 할 때
- 고급품 시장에서 먼저 확고한 명성을 쌓은 다음 그 여세로 그 밑의 시장으로 진출하려고 할 때
④ 하향연장 위험요소
- 회사의 기존 고급품을 구입하던 고객들이 회사가 새로 생산하기 시작한 저가품을 구입함으로써 고급품의
판매량이 줄어 회사 전체의 이익이 내려갈 수 있음
- 지금까지 회사의 고급품을 판매해 오던 중간 상인들의 낮은 이익률과 이미지 때문에 회사의 새 품목 취급을
꺼릴 수 있음
- 회사의 저가품 시장의 진출에 경쟁사들이 고급품 시장으로 반격할 수 있음
⑤ 상향연장 : 회사가 현재의 품목보다 더 높은 품질과 가격의 품목을 제품 계열에 추가하는 것을 말함
- 고급품 시장의 성장률이 높을 때
- 고급품의 마진이 높을 때
⑥ 상향연장 위험요소
- 고급품 시장에 자리잡고 있는 경쟁사와의 경쟁이 매우 힘겨울지도 모르고 더구나 이 경쟁사가 자사의 영역
(저가품 시장)을 침범할 수 있음
- 소비자들이 고급품 생산능력에 대해 의구심을 품을 수 있음
- 회사의 판매원과 중간 상인들이 고급품을 취급하는 자질과 훈련이 부족할 수 있음
5. 제품수명주기
가. 도입기
- 제품에 대한 수요가 적음
- 마케팅 활동 - 소비자와 중간상인들에게 제품의 존재와 이점을 알리는데 중점
- 광고비와 판매 촉진비의 지출이 많고, 생산원가도 높아 이익은 적거나 마이너스
나. 성장기
- 소비자들이 제품에 관해서 어느 정도 인지, 취급점포 증가로 판매 증가
- 점점 경쟁이 치열해지므로 광고, 판매촉진비가 계속 높은 수준으로 유지
- 가격은 현 수준으로 유지하거나 조금 떨어뜨릴 수 있음 경험곡선효과로 인해 생산원가 감소, 이익 급상승
다. 성숙기
- 판매 증가율이 현저히 줄어들기 시작하고 판매가 어느 일정한 수준을 맴돌게 됨
- 앞의 두 단계보다는 오래 지속되며, 대부분의 제품은 성숙기에 있다고 할 수 있음
- 회사들 사이에 경쟁 치열
- 전체 생산량 > 전체 판매량
- 가격이 떨어지며 판매촉진이 더 자주 취해짐
라. 쇠퇴기
- 공급과잉현상이 더 심해져 전체적으로 가격은 더 떨어지고 기업의 이익 감소
- 판매부진과 이익 감소로 인해 떠나는 기업과 남은 기업은 광고, 판매 촉진비를 줄이고
- 가격을 더 낮추며 원가 관리를 시작함
- 수확정책 : 판매량이 크게 떨어지지 않도록 하면서, 여러 가지 부문에서 비용을 줄이는 정책
'지나간... 의미가... > 마케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rketing MBA..2-3. How to Understand Product Values(제품 가치 분석) (0) | 2015.10.19 |
---|---|
Marketing MBA..2-2. How can we improve the market value of product? (0) | 2015.10.19 |
Marketing MBA..2-1. what is Product Value? (0) | 2015.10.19 |
Marketing MBA..1-12. Marketing communications and advertising / Distribution 전략 (0) | 2015.10.19 |
Marketing MBA..1-11.Managing Price and Value (0) | 2015.10.19 |
Marketing MBA..1-9. Managing Brand (0) | 2015.10.19 |
Marketing MBA..1-8.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0) | 2015.10.19 |
Marketing MBA..1-7. Market Strategy_The Integrator (0) | 2015.10.19 |
Marketing MBA..1-6. Marketing Segmentation & Targeting (0) | 2015.10.19 |
Marketing MBA..1-5. Competitor Insight (0) | 2015.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