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심하라, 스트레스를 스트레스로 만든 건 언제나 나였다]
저자는 [스트레스의 재발견]이 아래의 사람들을 위한 책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 장시간 노동에 스트레스를 받는 사람
- 인간관계에 스트레스를 느끼는 사람
- 상대의 스트레스를 없애주고 싶은 사람
이 말은 결국 모든 사람들을 위한 책인 것 같다는 생각을 합니다.
세상에서 저 세 가지 이유로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 사람이 있는가 싶네요.
이 책에서 중점으로 설명하고 있는 내용은, 스트레스에도 수동적 스트레스와 자발적 스트레스가 있다는 것입니다.
저자는 스트레스에는 다른 사람으로부터 받는 이류 스트레스인 '마이너스 스트레스'와
자기 자신에게서 나오는 일류 스트레스 '플러스 스트레스'가 있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마이너스 스트레스는 남에게서 받는 스트레스로 다른 사람에게 에너지를 쏟으며
시간과 감정을 소비하기 때문에 쉽게 피로를 느낄 수 있는 스트레스이며,
반대로 플러스 스트레스는 나 자신에게 받는 자발적 스트레스로
나를 더욱 성장시키는 원동력이 될 수 있는 스트레스입니다.
이는 스트레스를 받으면서도 정신적으로는 더욱 성장하고 편안해질 수 있다는 뜻이죠.
[남들이 뭐라 하든 중요한 건 내 의식이다]
일을 헤쳐나가겠다, 해결하겠다는 주도권을 내가 가지고 있는 한,
그 스트레스는 절대 마이너스 스트레스로 작용하지 않는다고 저자는 설명합니다.
[어떤 것을 선택해도 후회하게 되어있다]
모든 일에 단점이 있듯 모든 일에는 후회가 있는 법입니다.
두 가지 선택지를 동시에 결정할 수 있는 사람은 없기에,
가지 않은 길은 누구에게나 후회의 가능성으로 남을 수 밖에 없는 것이죠.
그냥 마음 편하게 '어떤 일에도 후회는 반드시 따른다'라고 생각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시작도 전에 고민만 하다 그르칠 바에야, 어짜피 어떤 것을 선택해도 후회는 있을 것이고
선택하지 않은 것은 놓아야 된다고 생각해본다면,
결정은 훨씬 수월할 것 같습니다.
[‘이건 안된다’는 생각의 브레이크에서 발을 떼라]
“이건 이렇게 하면 안 된다.” “저건 저렇게 하면 안 된다” 사사건건 자기 자신의 생각에 브레이크를 밟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러면 일을 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스트레스가 쌓이게 됩니다.
창의적으로 생각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스트레스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생각 또한 자유로울 필요가 있다고 저자는 이야기합니다.
하지만 자신의 생각을 제어하는 브레이크를 밟을 때마다 뇌는 생각을 멈추게 되는 것이죠.
머리에 자유를 주어 자유롭게 생각할 수 있어야 뇌가 활발히 활동할 수 있게 되어 좋은 아이디어를 잘 떠올릴 수 있게 됩니다.
이는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에, 해결방안을 더욱 잘 찾을 수 있게 된다는 뜻이고
곧 스트레스에 있어 자유로워질 수도 있다는 뜻입니다.
결국 이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긍정적인 생각, 편안한 마음가짐이
곧 플러스 스트레스를 만들고 나 자신을 성장시킬 수 있다는 것입니다.
어쩌면 너무도 뻔한 답이네요. 이 세상에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 사람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심지어 너무나 좋은 환경에서도 말이죠. 그 어떤 상황에서도 곧 그 상황에 적응하며 스트레스가 생기기 마련입니다.
그 스트레스가 나를 성장시킬 수 있는 요소라고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이겨 나가거나,
스트레스를 마냥 고통이라고 생각하며 우울감에 빠져 있거나의 차이인 것 같습니다.
스트레스는 나쁜 것이라는 인식을 조금만 바꿔본다면
스트레스는 내가 더 나아가기 위한 디딤돌과 같은 좋은 요소로도 작용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ATG 마케터즈 Workshop > Book Togeth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은 왜 제품이 아니라 브랜드텔링에 집중했을까? - 염승선 (0) | 2020.04.14 |
---|---|
원더 - 이인 (0) | 2020.03.18 |
마케터의 문장 - 가나가와 아키노리 (0) | 2020.03.17 |
카네기의 말 : 인간관계론 - 데일 카네기 (0) | 2020.02.21 |
최강의 영향력 - 탈리 샤롯 (0) | 2020.02.19 |
신입 마케터가 읽은 [크리에이터의 생각법-폴 슬론] (0) | 2020.01.15 |
신입 마케터가 읽은 [클래식이 알고싶다-안인모] (0) | 2019.12.30 |
말의 품격 - 이기주 (0) | 2019.12.24 |
봉제인형 살인사건 - 다니엘 콜 (0) | 2019.12.02 |
드디어 팔리기 시작했다 - 안성은 (0) | 2019.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