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나간... 의미가.../마케팅 이야기

[책]디자인 마케팅 - 홍지원



디자인 마케팅

저자
홍지원 지음
출판사
미진사 | 2009-09-21 출간
카테고리
예술/대중문화
책소개
시장 경쟁력이 있는 디자인 마케팅을 위한 조사 및 자료 분석, ...
가격비교



디자인 마케팅 

 

홍지원 지음, 미진사

 

 

1. 현대적인 개념의 마케팅은 소비자의 욕망을 충족시키는 동시에 소비자의 욕망 창조까지 담당하는 종합적 기능을 뜻한다.

 

2. 표적시장의 선정에서 상표의 컨셉을 잡아주어야 한다. 이 핵심 개념이 명확해지면 커뮤니케이션 목표가 수립될 수 있다. Sales Promotion에도 컨셉이 있어야 하는데, 예를 들어 맥도날드나 피자헛같은 경우에는 SP 행사를 많이 하면서도 ‘Fun’‘Entertainment Value’라는 일관된 주제를 가지고 간다. 주제가 없다면 보고 나서도 기억나는 것이 없을 것이다.

 

3. 지프차는 야외 새활에 적합하도록 만든 차지만, 도시의 젊은이들 사이에서 자기 표현의 수단으로 유행한다. 정글에서나 입을 법한 사파리룩도 불티나게 팔린다. 물론 그것을 입고 아프리카로 가진 않는다. 이들은 제품의 본질적 기능만을 보고 물건을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만족감을 산다.

 

4. 현대적 의미의 소비자는 AISAS라는 구매 패턴을 가진다.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알게 되고, 그것에 주목(Attention)하게 되고, 그것에 흥미(Interest)가 생기면 검색(Search)을 통해서 욕구(Desire)와 기억(Memory)을 대체한다. 그리고 구매(Action) 후에는 공유(Share)라는 과정이 있다.

 

5. 써서 없애버린다는 의미의 ‘consume’에서 나온 소비자(Consumer)는 말 그대로 상품이나 서비스를 소비하는 사람으로, 경제적 대가를 지불하고 상품을 구입하거나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고객(Customer)의 어원은 관례, 습관이라는 뜻의 ‘custom’이다. 습관적인 소비자라는 의미로 볼 수 있는데, 이는 현재의 소비뿐만 아니라 미래에도 그 브랜드에 지속적인 소비를 할 것이라는 점을 내포하고 있다.

 

6. 경쟁분석 프로세스 : 경쟁의 범위 선정 à 관련 정보 수집 à 포지셔닝 분석 à 핵심 메시지 분석 à 시각 이미지 분석 à 브랜드 전략 분석 à 판매 현장 실사 à 분석 결과 종합

 

7. 인터뷰 기사 작성

. 제목 : 일반적으로 인용구를 제일 큰 서체로 배치

. 부제 : 대상 인물의 이름, 이름 앞에 인물을 꾸며주는 짤막한 수식어 배치

. 리드 : 주제와 인물을 인터뷰하게 된 이유, ‘…를 만났다.’ 또는 ‘…들어본다.’

. 본문 : 피라미드형, 혼합형, 역피라미드형 모두 사용

. 편집 : 생동감 있는 사진의 조화로운 배열, 사진 설명을 첨부하면 좋다.

 

8. 이미지란 기억하고 있는 것, 또는 대상이 눈 앞에 없을 경우 등에 생각해내서 다시 표현하는 것, 시각 / 청각 / 촉각적 이미지 등과 같이 지각 대상이 재생된 직관적인 상을 뜻하기도 하지만, 각 상보다는 막연하며 어떤 생각, 태도, 개념 등과 같이 한층 추상적인 뜻으로 쓰이는 경우도 있다.

 

9. 국내 디자인 트렌드

. Fun Trend : 재미가 세상을 지배한다.

. Digilog : 정서적 컨버런스 디지로그

. Warm : 따뜻한 감성의 웜

. Arty generation : 예술의 혼을 입혀라, 아티젠의 부상

. G&G : 미래의 황금 소비자 실버시대

. 대한민국을 흔드는 엄마소비자

.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수단, 블로그

 

10. 미래 디자인 트렌드 전망

. 단순함의 원리

. 친환경 디자인 : Zero waste, Eco design, Sustainability, Universal design

 

11. 포지셔닝 필수요소

. 소비자 분석으로 소비자 욕구와 기존제품에 대한 불만족 원인을 파악한다.

. 경쟁자 확인으로 제품의 경쟁 상대를 파악한다.

. 경쟁 제품 분석으로 소비자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평가받는지 파악한다.

. 제품의 포지션을 결정한다.

. 포지셔닝의 확인 및 리포지셔닝으로 포지셔닝 전략이 실행된 후 자사 제품이

목표한 위치에 포지셔닝되어있는지 확인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