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감성에 대한 견해
가. 전통적 견해 : 감성과 육체, 감성과 이성의 분리
나. Neuro Scientists
① 감성과 이성은 분리할 수 없음
② 감성과 신체 반응도 분리할 수 없음
③ 감성은 사람의 행동과 인지과정을 이끄는 역할을 담당
④ Phineas Gage의 사례 : 기억을 잃지 않았지만 과거에 습득한 사회적 관습이나 윤리적 기준을 준수하는
능력을 잃음
⑤ 옥시토신이 작동하여 모성애를 만들어내기도 함
⑥ 인간을 컴퓨터에 비유하는 방법의 문제점 제기
2. 감성적/감각적 경험의 활용
가. 소비자가 추구하는 편익 혹은 욕구 : 브랜드의 기능, 감성적/감각적 경험, 상징성 등
나. 적합성 : 브랜드가 제공하는 offering, 감성/감각, 상징성이 소비자가 추구하는 욕구에 적합한가?
다. 귀인과정/인지적 자원 등에 의한 조절효과 : 귀인이 용이할수록 인지적 자원이 많을수록 감성에 의한 영향력이
줄어들 수 있음
라. 무드의 조절효과 : 긍정적인 무드는 새로운 생각에 대한 수용가능성을 높여서 결과적으로 creative한 아이디어를
내는 데에 도움이 되고 부정적인 무드는 비판적, 분석적인 생각을 자극함
마. Zaltman의 ZMET와 Consensus Map
- ZMET : 스토리텔링, 빠진 이미지, 분류과업, 추출, 전체 이미지 등을 활용
- Consensus Map : 특정 문제와 제품, 그리고 이를 제공하는 기업에 대하여 소비자들이 공유하고 있는 개념들의
집합을 구도화
3. 기업이미지와 기업평판
가. 협의의 기업이미지 : 소비자가 보유하고 있는 기업에 대한 인상
나. 기업평판
- 기업 이미지 관리 능력
- 주요 구성원(이해관계자)에 대한 강력한 관계 구축 능력
- 산업전문가 혹은 기자 등 관련자들에 의한 소문 확산
'지나간... 의미가... > 마케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rketing MBA..4-3. 가격단서의 활용방법과 신제품 가격설정 (0) | 2015.10.19 |
---|---|
Marketing MBA..4-2. 가격 전쟁과 적정가격 (0) | 2015.10.19 |
Marketing MBA..4-1. 가격관리의 기본 (0) | 2015.10.19 |
Marketing MBA..3-13. 전략적 브랜드관리 성과 평가 및 브랜드자산 측정 (0) | 2015.10.19 |
Marketing MBA..3-12. 브랜드명 결정 프로세스 (0) | 2015.10.19 |
Marketing MBA..3-10. 브랜드 경험관리와 관계구축 (0) | 2015.10.19 |
Marketing MBA..3-9. 전략적 브랜드관리 프로세스 (0) | 2015.10.19 |
Marketing MBA..3-8. 전략적 브랜드관리의 의의와 중요 개념 (0) | 2015.10.19 |
Marketing MBA..3-7. 신상품의 확산 전략 : 제품의 서비스화 경향과 행동경제학의 활용 (0) | 2015.10.19 |
Marketing MBA..3-6. 신상품의 확산 전략: 유인효과와 WOM활용 (0) | 2015.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