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브랜드명의 역할
가. 브랜드명의 순수한 역할은 일정 수준에 한정되어 있음
나. 삼성, LG 등의 이미지는 이름의 우수성보다는 자신의 아이덴티티가 오랜 기간 제품, 기업활동, 광고 등에 의하여
구축된 것
다. 이론적으로 브랜드 이름은 관련된 연상작용(기억 속의 다양한 이미지)를 포함하고 있는 확인자(identifier)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
- 사람들이 브랜드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기억 네트워크의 다양한 이미지를 연결하는 역할
라. 새로운 브랜드를 사용할 때에는 소비자에게 명확하게 제시할 수 있는 매력 포인트(포지셔닝)와 막대한 비용과
시간 투자가 전제되어야 함
2. 브랜드 네이밍
가. 좋은 이름 + 잘 구성된 마케팅 활동
① 애플, 아마존, eBay, 처음처럼
② 대체로 명확한 아이덴티티를 구성하고 많은 비용을 투자하여 성공한 것임
나. 보통 수준 이름 + 잘 구성된 마케팅 활동
① 삼성, LG는 지속적인 혁신 제품 출시로 첨단 이미지를 구축
② 애니콜은 출시 당시 통화성공률을 제시하는 브랜드이지만 향후 체계적인 마케팅 활동으로 변신에 성공
③ 삼성, LG, GE, MicroSoft라는 기업 브랜드를 듣고 좋은 느낌을 받는 것은 이름이 좋아서 나타나는 현상이 아니라
여태까지의 마케팅 활동에 의하여 이름과 관련한 여러 가지 좋은 이미지가 떠오르기 때문
다. 좋은 이름 + 적은 마케팅 비용으로 이미지 구축
① '눈높이 교육', '물먹는 하마' 등
② 가장 이상적인 브랜드 이름은 적은 비용으로 강력한 이미지를 구축하는 것이지만 이러한 예는 극히 소수에
불과함
③ 예외
- 마케팅 비용을 많이 투자하기 어려운 음식점 등은 브랜드명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므로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좋은 이름
- 대학에서 영어명칭을 학과명을 변경한 것(세라믹공학, 시스템공학과)은 효과가 있었음
3. 브랜드 요소 결정
가. 브랜드 명의 선택 : 이해하기 차별화되어 기억하기 쉬운 이름
나. 기타 브랜드 요소의 선택 : 로고, 캐릭터, 서체, 징글 등을 미적 감각과 매력이 있고 기억하기 쉬운 브랜드 요소
다. 상표등록 여부 판별
라. (브랜드 네이밍 회사의) 최종 후보안 도출 및 담당자의 의사 결정
마. 기본 가이드라인 및 응용 가이드라인 작성 및 전파, 공유
4. 브랜드 아키텍처 관련 개념 비교
가. 브랜드 아키텍처(brand architecture)
- 기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모든 브랜드와 제품을 트리 형태로 구성한 도표
- 브랜드와 제품군, 혹은 브랜드와 세분 시장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음
- 브랜드 스트럭처(brand structure)라고 부르기도 함
나. 브랜드/제품 매트릭스
- 제품과 브랜드를 가로와 세로축을 이용하여 기업의 브랜드 및 제품 사용현황을 나타냄
- 제품 브랜드와 기업 브랜드를 동시에 사용하는 혼합 브랜드를 표시하기 어려움
다. 브랜드 계층구조(brand hierarchy)
- 사용 범위에 따라 기업 브랜드, 제품 브랜드 등으로 분류
- 가장 잘 알려진 것은 기업 블내드, 가족군 브랜드, 개별 브랜드, 브랜드 수식어의 4단계 분류법
라. 브랜드 포트폴리오
- 기업, 가족군, 개별 브랜드와 브랜드 수식어를 모두 포함하고 로고나 상징물 등 시각적 표현 방식과 로고송이나
광고 배경음악 등 청각적 표현 방식들을 포함
5. 브랜드 계층 구조
가. 기업브랜드 : 기업명을 브랜드로 사용
나. 가족군 브랜드 : 제품 브랜드이며 다양한 제품군에 동일한 브랜드를 사용
다. 개별 브랜드 : 제품 브랜드이며 특정 제품군, 특정 세분시장, 특정 가격대에만 사용
라. 브랜드 수식어 : 제품 브랜드의 하위 단계로 특성을 나타내거나 모델명을 사용
※ 괄호 속에 있는 브랜드는 패키지 디자인, 광고 등 마케팅 활동에서 강조하지 않거나 변경한 것임
6. 브랜드명 결정
가. 공동브랜드 전략의 특징
- 일부 제품 성공이 다른 제품에 긍정적인 파급 효과
- 마케팅 비용 절감
- 브랜드 전략 수립이 용이
- 차별화된 브랜드 이미지 구축이 어려움
- 일부 제품 실패에 전체 브랜드 이미지가 도미노 현상을 일으킬 가능성
나. 개별 브랜드 전략의 특징
- 차별화된 이미지 구축 용이
- 일부 제품의 실패에 대한 파급효과 차단
- 이미지 구축에 엄청난 비용과 시간이 필요함
- 충분한 자원이 투자되지 않으면 브랜드가 쇠퇴할 가능성이 높음
다. 혼합 브랜드 전략의 특징
- 잘못 운영되면 두 가지 브랜드 전략의 단점만 나타날 수 있음
- 지속적으로 마케팅 활동에 초점이 될 주력 브랜드를 명확히 결정할 필요가 있음
'지나간... 의미가... > 마케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rketing MBA..4-4. 유통의 개요 (0) | 2015.10.19 |
---|---|
Marketing MBA..4-3. 가격단서의 활용방법과 신제품 가격설정 (0) | 2015.10.19 |
Marketing MBA..4-2. 가격 전쟁과 적정가격 (0) | 2015.10.19 |
Marketing MBA..4-1. 가격관리의 기본 (0) | 2015.10.19 |
Marketing MBA..3-13. 전략적 브랜드관리 성과 평가 및 브랜드자산 측정 (0) | 2015.10.19 |
Marketing MBA..3-11. 감성적 접근방법 및 기업평판 관리 (0) | 2015.10.19 |
Marketing MBA..3-10. 브랜드 경험관리와 관계구축 (0) | 2015.10.19 |
Marketing MBA..3-9. 전략적 브랜드관리 프로세스 (0) | 2015.10.19 |
Marketing MBA..3-8. 전략적 브랜드관리의 의의와 중요 개념 (0) | 2015.10.19 |
Marketing MBA..3-7. 신상품의 확산 전략 : 제품의 서비스화 경향과 행동경제학의 활용 (0) | 2015.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