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격 전쟁
가. 정의 : 한 회사가 가격을 낮추면 경쟁회사도 낮추고 연쇄적으로 가격경쟁에 들어가는 현상
나. 가격관리를 잘하려면
① 과정을 중요시하라
② 가격만 잘해서는 절대로 되지 않는다
③ 마케팅 목표와 부합해야 함
④ 부서간에 조화가 잘 맞아야 함
다. 정유시장 예
- 시장 리더인 SK(MS 40%)가 제품과 서비스 차별화를 통해 시장을 이끌고 있음
- 시장 리더가 가격으로 차별화를 할 경우 레드오션이 될 수가 있음
라. 차별화 예시 : 제품 / 서비스 / 광고 / 인력 / 상징성(SK 빨강, S-oil 노랑..)
2. 가격 전쟁을 방지하는 방법
가. 가격 정책의 방향을 미리 알게 하라
- Price matching policy, everyday low pricing
나. 경쟁사로 하여금 자사도 경쟁적인 원가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게 하라
- 소모적인 가격경쟁을 하지 말자는 의도
다. 품질로 차별화
① 제품에 새로운 속성을 추가하여 차별화
- 제품 / 서비스 / 유통 / 사람 / 이미지
② 기존 제품의 feature와 benefits를 알릴 것
③ 저가품목을 사용함에 관한 위험을 알려라
④ 여러가지 가격정책
- Bundling / Two part pricing / Quantity Discount / Loyalty Program
라. Fighting Brand 전략 : 시장 개척 상표만이 사용 가능(마켓리더)
- 아류 브랜드를 생산하여 해당 브랜드와 겨루는 제품브랜드 운영
마. 가격으로 정면 승부해야 할 경우
① 경쟁사가 나의 Core business를 건드릴 때
② 앞으로 가격에 민감한 소비자층이 많을 때
③ 경쟁사보다 여유가 있을 때
④ 시장을 키움으로 규모의 경제를 가질 수 있을 때
⑤ Entry Barrier : 후발주자 쫓아낼 때
3. 적정가격을 설정하기 위한 8가지 계명
가. 고객의 가치를 평가하라
나. 고객의 가치의 Variation을 살펴보라
다. 고객의 가격민감도를 평가하라
라. 적정 가격구조를 살펴보라
마. 경쟁사의 반응을 고려하라
바. 거래시에 실제로 받을 수 있는 금액을 계산하라
사. 고객의 심리적인 반응을 고려하라
아. 고객 유형별로 수익성을 분석하라
4. 고객의 가격민감도 평가 : 체크리스트
가. 고객의 비용부담측면
- 제품가격을 구매의사 결정자가 부담하는가?
- 가격이 총 비용 가운데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가?
- 구매자가 최종 사용자인가? 아니면 최종 제품시장에서 가격으로 경쟁하는가?
- 높은 가격이 높은 품질을 의미하는가?
나. 고객이 정보탐색과 사용 측면
- 구매자가 비교 구매하는 것이 어려운가?
- 구매시기나 배달시기가 구매자에게 중요한가?
- 구매자가 상당한 대가를 치르지 않고 공급선을 바꿀 수가 있는가?
다. 경쟁측면
- 우리 제품이 경쟁제품에 비하여 어느 정도 차별화 되어 있는가?
- 기업의 명성이 구매 결정시에 중요한 고려사항인가?
구매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무형적인 요인들이 있는가?
'지나간... 의미가... > 마케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rketing MBA..4-7. 힘의 조절과 통제 메커니즘 (0) | 2015.10.19 |
---|---|
Marketing MBA..4-6. 무점포형 소매업 (0) | 2015.10.19 |
Marketing MBA..4-5. 점포형 소매업 (0) | 2015.10.19 |
Marketing MBA..4-4. 유통의 개요 (0) | 2015.10.19 |
Marketing MBA..4-3. 가격단서의 활용방법과 신제품 가격설정 (0) | 2015.10.19 |
Marketing MBA..4-1. 가격관리의 기본 (0) | 2015.10.19 |
Marketing MBA..3-13. 전략적 브랜드관리 성과 평가 및 브랜드자산 측정 (0) | 2015.10.19 |
Marketing MBA..3-12. 브랜드명 결정 프로세스 (0) | 2015.10.19 |
Marketing MBA..3-11. 감성적 접근방법 및 기업평판 관리 (0) | 2015.10.19 |
Marketing MBA..3-10. 브랜드 경험관리와 관계구축 (0) | 2015.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