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품 서비스화 vs. 서비스 제품화
가. 제품서비스화 : 제품이 서비스로 변화되어 가는 과정
나. 서비스제품화 : 서비스상품이 유형의 제품화되어 과는 과정
다. 통합서비스
제품 → 서비스화(제품 서비스화) → 통합솔루션 ← 제품화(서비스 제품화) ← 서비스
라. 1차적 서비스화의 개념과 한계
① 개념 : 제조업 중심의 기업 → 서비스 활동을 중심으로 집중화 추진
② 한계 : 서비스의 경쟁력을 가지지 않고 단순히 제품에 부가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제품 서비스화의 성공에
제약을 따르게 됨
마. 고객 경험 Context 기반의 제품 서비스화 프레임워크 : 고객경험 Conext 중심
바. 2차적 서비스화의 개념도
2. 제품 서비스화의 유형별 사례
가. 기존의 경험 컨텐스트 내에서의 연관관계 발전
나. 기존의 컨텍스트 확장 : 자동차 / MP3
다. 다양한 컨텍스트의 통함 : 스마트폰(인터넷/메일/채팅/음악/게임..)
라. 새로운 컨텍스트의 창조 : 스타벅스(커피의 문화 패러다임)
3. 행동경제학
가. 개념 : 인간이 실제로 어떻게 '선택'하고 행동하는지,그 결과로 어떠한 사회현상이 발행하는지를 고찰하는 학문.
즉, 인간행동의 실제와 그 원인, 그것이 경제사회에 미치는 영향, 사람들의 행동을 조절하기 위한 정책에
관해서 심층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 경제학
나. 특징
① 합리적 / 논리적 인간 → 감성적 / 사회적 인간의 행동 설명
② 준합리성의 가정 채택
③ 심리학과 다양한 방법론을 통해 기존의 기대효용이론을 혁신시킨 행동경제학 탄생
다. 대표적 이론
① Prospect Theory
② Mental Accounting 이론
'지나간... 의미가... > 마케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rketing MBA..3-12. 브랜드명 결정 프로세스 (0) | 2015.10.19 |
---|---|
Marketing MBA..3-11. 감성적 접근방법 및 기업평판 관리 (0) | 2015.10.19 |
Marketing MBA..3-10. 브랜드 경험관리와 관계구축 (0) | 2015.10.19 |
Marketing MBA..3-9. 전략적 브랜드관리 프로세스 (0) | 2015.10.19 |
Marketing MBA..3-8. 전략적 브랜드관리의 의의와 중요 개념 (0) | 2015.10.19 |
Marketing MBA..3-6. 신상품의 확산 전략: 유인효과와 WOM활용 (0) | 2015.10.19 |
Marketing MBA..3-5. 신상품의 동태적 관리 (0) | 2015.10.19 |
Marketing MBA..3-4. 마케팅조사와 상품 컨셉 테스트 (0) | 2015.10.19 |
Marketing MBA..3-3. 상품 컨셉의 중요성과 설정 방법 (0) | 2015.10.19 |
Marketing MBA..3-2. 신상품 개발 프로세스 (0) | 2015.10.19 |